합격률 5.34%의 불나방 같은 시험, 문제  요약을 하자면

1)인터페이스-최신 기술에 대한 단어를 물어봤었다. 요즘 웹서비스가 지고 REST API가 뜨는 추세 + HTML에서 XML로 가는 추세 등등을 반영하려고 XMLJSON에 대해 묻는 문제가 나왔다. (뭔가 나중에 AJAX도 나오지 않을까 싶다...)

 

2)프로그래밍-C언어 정렬의 오름차순, Java의 switch/case, java 메소드 호출+정적변수가 나왔다. 오름차순 정렬은 개편 이전 알고리즘 파트에서 꼭 나왔던 전형적인 문제들이었다. switch/case는 break와 default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나왔다. 나머지 java하나는 기억이 정확히는 안 났는데, static으로 선언한 변수에 대해 값을 묻는 문제였던 것같다.

 

3)데이터베이스- 프로시저, 트리거, 윈도우함수 이딴거 개나줬구 정보처리기사 필기에 나왔던 그대로 DISTICT, GROUP BY, WHERE 뭐 대충 이렇게 해서 행의 수가 몇 개냐 이런 간단한 문제가 나왔다.

프로시저, 트리거에 한껏 긴장한 나는 쌍욕을 하면서 풀었다.. (프로시저가 안 나온다고..? 이럼서..) 충격적인 것은 이번 DB 문제.. 토시하나 안 틀리고 필기 대비 문제집에서 볼 수 있다 ^^!

 

4)단편적개념-살충제 패러독스, 결합도 및 응집도, 제품패키지 릴리즈노트헤더, OSI 7계층, 처리량/응답시간/경과시간, 역정규화(비정규화)에 대해 상세히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가 나왔다.

제품 패키지 릴리즈노트 헤더의 경우, 해당 문서에 들어가는 항목들을 쭉 나열해놓고 이 항목들이 들어가는 문서의 이름은 무엇이냐? 였다!  이 문제는 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, 설치매뉴얼, 배포 등등 12장에 큰 각주에 대한 내용을 보고 구분할 줄 알아야 풀 수 있다. 12장 챕더 각각에는 작성해야하는 노트나 문서가 있는데, 이 문서에 작성해야 하는 항목들의 주요 내용도 알고있어야한다. 

다른 주제로 예시를 들자면  인터페이스 ID, 오퍼레이션명, 오퍼레이션 ID 등등을 보고  상세기능인터페이스 명세서 라는 것을 알아맞출 수 있을 정도...? 

5)최신 트렌드-데이터마이닝, 랜드어택, MD5에 대해 나왔다. 요즘 출제 경향을 보니 빅데이터, 데이터웨어하우스 등 (빅)데이터와 관련된 문제가 다수 출제되는 경향인 것 같다. 그리고 랜드어택은 공격 방법, 화면을 주고 이게 어떤 보안관련 공격인지 쓰는 문제가 나왔다. 이외 MD5는 설명을 주고 답을 적는 간단한 문제였다. 

 

6)이외 개편전 냄새가 진하게 풍겼던 문제들 ^^... - 프로토콜 3요소, HRN 우선순위계산식, 트랜젝션의 특성 ACID, LoC 계산, Fan-in 

개편된 내용의 문제가 주가 아니고,, 대부분 개편되기 이전 내용들을 주로 다룬 느낌이었고 전년도, 재작년도 기출을 꼮~! 풀고 가야 당황하지 않을 것 같다. 

 

무슨 책을 사야할까... 함 께 R 아 보 Za --> https://fifo22.tistory.com/83

2회 실기는 어땟을까... 함 께 R 아 보 Za --> https://fifo22.tistory.com/86

BELATED ARTICLES

more